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오전 8시54분께 무안공항 관제탑은 활주로 01방향으로 사고 항공기 착륙을 허가했다. 이어 8시57분 재차 사고기에 조류회피 주의 조언(caution bird activity)을 했다.
오전 8시59분 조종사는 관제탑에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해 메이데이(긴급조난신호)를 선언하고 재착륙을 위해 항공기를 다시 떠오르게 하는 복행을 실시했다.
이후 오전 9시 사고기는 활주로 19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했으나, 9시3분 랜딩기어 없이 착륙하면서 활주로 끝을 이탈해 활주로 외벽을 들이받았다.
항공당국은 조류 충돌 주의 경보 당시 복행(재착륙을 위해 다시 떠오르는 것)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았던 배경, 랜딩기어 작동 여부 등 사고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블랙박스 2개를 수거했고 일부 잔해가 남아있는 것을 추가로 수거해 정밀 조사를 시작할 것”이라며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면밀히 내용을 검토해 사고 원인을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고 조사와 관련해선 “우선 현장의 사고 정황을 확인하고 증거물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블랙박스와 항적기록 및 교신내역, 관제기관 관계자 조사 등을 다각도로 진행한다고 했다.
아울러 동체착륙 당시 사고 항공기와 역방향으로 바람이 불고 있었지만 착륙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당시 기상 상황은 풍향은 110도 방향에 풍속은 2노트, 시정(가시거리)은 9㎞, 운고(구름 높이)는 4500피트, 온도는 영상 2도로 조사됐다”며 “항공기 기준으로 살짝 역방향이지만 미풍이어서 활주로 양방향을 다 쓸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당시 무안공항은 3교대로 1명이 조류 충돌 예방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적으로 항공 사고 조사 기간이 상업용 여객기는 6개월에서 길게는 3년까지 걸릴 수 있어 사고 원인규명에는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사에는 사고 기체 제조사인 보잉사 등도 참여한다. 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국제 규정에 따라 미국 당국과 제조사가 참여할 예정”이라며 “후속 상황은 보잉사와 추가 협의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9시3분께 전남 무안군 망운면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방콕발 무안행 제주항공 2216편 여객기가 착륙 도중 활주로를 이탈, 공항 내 담벼락을 들이받았다. 화재로 사고 항공기는 전소됐다.
사고 여객기에서는 탑승객 175명(태국인 2명 포함)과 승무원 6명이 타고 있었다. 현재까지 2명이 구조됐으며, 사망자 177명이 확인됐다. 2명은 아직 수색 중이다.
구조된 객실 승무원 2명은 서울이대병원과 아산병원으로 각각 옮겨졌다. 현장에서 수습된 희생자들은 무안공항 내 임시 영안실에 안치 중이다.
한편 현장에는 부산지방항공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지역 사고수습본부가 설치돼 유가족 지원 상담실 운영, 피해자와 가족명단 매칭, 유가족 대표 사고현장 방문 등 유가족 지원을 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formation@newsis.com